티스토리 뷰
매트릭스 줄거리
매트릭스는 199년 개봉한 미국 SF영화이다. 주인공은 키아누 리브스. 인공지능에 의해 인간이 지배당하는 2199년 미래세계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199년, 호텔에 구류되어 있던 '트리니티'는 초인적인 신체 능력을 발휘하여 탈출한다. 선글라스를 낀 요원들이 그녀를 추격하나 그녀는 공중전화박스에서 누군가에게 전화를 걸고 사라진다.
토머스 A. 앤더슨은 낮에는 평범한 회사원이지만 밤에는 해커'네오'로 활동하고 있다. 네오는 인터넷으로 이 세계는 잘못 되어 있으며'매트릭스'에 지배되고 있다는 의문의 메시지를 받고, 클럽에서 트리니티와 조우한다. 트리니티는 '모피어스'라는 자가 네오를 찾고 있다고 말한다. 다음날 회사에서 네오는 '스미스 요원'과 다른 요원들의 방문을 받는다. 전화로 걸려온 모피어스의 지시를 듣고 탈출하려고 하지만 실패하고 요원들에게 잡힌다.
요원들은 테러리스트 모피어스의 정보를 달라며 네오의 몸에 도청용 기계벌레를 집어 넣는다. 그 순간 집 침대에서 깨어난 네오에게 다시 한번 트리니티가 동료들과 함께 찾아오고 네오의 몸에서 기계벌레를 제거한 뒤 모피어스에게 데려간다.
모피어스는 네오에게 알약 두개를 주며, 파란 것을 먹으면 이전의 현실로 돌아가고 빨간 것을 먹으면 세계의 진실을 알 수 있다고 말한다. 네오는 빨간 약을 골라 먹자 현실이 반전되며 액체로 채워진 인큐베이터 안에서 알몸의 상태로 깨어난다. 돌러보니 수많은 인간들이 거대한 기계 속에서 네오처럼 잠들어 있었다.
인큐베이터 안에서 탈출한 네오는 모피어스, 트리니티와 그 동료들이 이끄는 비행선 느브갓네살 호에 태워진다. 차후 모피어스가 말해준 사실은, 지금은 2199년이고 21세기 인류와 기계 사이의 전쟁의 결과 인류는 기계에게 에너지를 공급하고 있으며 '매트릭스'라는 이름의 기계에 뇌를 맡기고 가상세계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예전자는 어떤 존재가 구세주가 되어 인류를 '시온'으로 데려갈 것이라고 예언했고 모피어스는 네오가 바로 그 존재라고 믿고 있었다. 네오는 모피어스로부터 자아를 인식하고 매트릭스 속 가상현실을 다루는 방법을 전수받는다. 모피어스는 팀의 해커 탱크가 매트릭스를 해킹하여 그들에게 초인적인 힘을 줄 수 있었던 것이다.
한편 모피어스의 팀의 사이퍼는 사실 암울한 현실에 질려 모피어스를 배신하고 풍요로운 가상세계로 되돌아가려는 마음을 먹고 있었다. 그는 스미스 요원과 거래하여 모피어스를 넘겨 주겠다고 한다. 이후 모피어스 팀은 네오를 데리고 매트릭스 세계로 들어가서 예언자가에게 네오가 구세주인지를 시험받게 한다. 그러나 예언자는 네오가 구세주가 아니라고 말한다. 현실 세계로 돌아가기 위해 출구로 가던 중 사이퍼의 의도적인 실수로 팀은 요원들의 추격을 받게 되고 모피어스는 붙잡히고 만다. 사이퍼는 현실 세계로 먼저 나와서 해커 탱크를 비롯해 팀원들을 차례로 죽인다. 그러나 탱크가 죽지 않고 살아남아 사이퍼를 처단해서 네오와 트리니티만 살아남게 된다.
네오는 자신을 믿어 달라는 모피어스의 가르침을 생각하며 모피어스를 구하러 가겠다고 한다. 트리니티가 네오를 믿고 같이 동행한다. 매트릭스 세계에서 둘은 증식하는 요원들을 사살하고 모피어스를 구출한다. 그러나 탈출 직전 스미스 요원의 방해로 두 사람만 가고 네오만이 남아 최후의 결전을 벌이게 된다. 혈투 끝에 네오가 쓰러지지만 가상 현실에서의 자아를 지배하는 방법을 깨달은 네오는 초인이 되어 스미스 요원을 무너뜨리게 된다.
영화에서 빨간약을 먹은 네오가 진짜세계를 찾아가는 것을 토끼구멍에 빠지는 엘리스의 여정을 비유하는데 이것은 인간잉 새로운 의식의 차원으로 가는 여정을 다룬 다른 법칙이 지배하는 세상으로 가는 앨리스의 여정에 빗대어 표현한 것이다.
영화에서 네오가 직면한 빨간약,파란약에 대한 선택의 순간은 인간 자신이 어떤 삶을 살지 직접 결정해야 하는 선택의 문제로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인간이 훌륭한 삶을 살았는가는 어떤 경험을 했는지가 아닌 어떤 선택을 했는지가 좌우된다는 것이다.
진실의 존재 철학적 의미
이 세계 넘어 진정한 현실이 존재할지도 모르는 인류의 오래된 환상중 하나일지도 모른다.
매트릭스가 전해주는 의미가 난해한 의미는 진실이 없는 듯 있는 것 처럼 설정하기 때문이다. 모피어스는 네오에게 알약을 먹여 진실의 세계로 인도하지만 이후 이어지는 그의 대사는 진실의 존재에 대한 명백한 모순에 부딪힌다.
모피어스는 인간은 오감으로 지각하는 것, 뇌의 해석에 의한 것을 진실이라 믿는다고 얘기하는데 이는 바꿔 말하면 육신을 가진 인간은 절대 진실에 도달할 수 없는 존재라는 점을 암시한다. 그러므로 매트릭스가 사실이라 해도 인간은 자신이 사는 세계가 사실인지 거짓인지 알 수 없다. 실제라는 건 뇌가 해석하는 전자 신호일뿐인 것이다.
어떻게 선택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선택을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당연히 많은 선택지가 있어야 한다. 많은 선택지를 만들려면 많이 알아야 한다. 그것이 바로 우리가 공부하고 삶에 대해 고민해야 하는 이유이다. 진실이 없다는 가정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은 이간이 할 수 있는 가장 인간다운 선택을 하기 위해서 끝없이 공부해야 하는 것이다.
'A카테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애니메이션 환상적인 모험 (0) | 2023.10.09 |
---|---|
아멜리에 외로운 사람을 위한 용기있는 영화 (0) | 2023.10.09 |
오만과 편견 진정한 사랑의 깨달음 멜로로맨스 (0) | 2023.10.09 |
해리포터 시리즈 영화 줄거리 정리 한번에 총정리 (0) | 2023.10.09 |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소설원작 볼만한 영화 (0) | 2023.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