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쇼생크 탈출 줄거리

잘나가는 은행 부지점장 '앤디'(팀 로빈슨) 그는 너무 바빴고 아내는 외로움에 운동선수롸 바람을 피우게 된다. 이 사실을 눈치채고 권총을 들고 집으로 향하지만 집에 들어가기 직전 생각을 바꾸고 강에 던져 버린다. 그리고 만취해 집에 돌아가지 않는다. 그런데 어이없게도 부정한 아내와 그녀의 정부를 살해한 혐의로 다음날 체포가 된다. 상황이 이래저래 꼬여 버려 무죄를 입증할 증거가 나오지 않아 유죄판결을 받게 된다. 앤디는 종신형을 선고 받고 쇼생크 교도소에 수감이 된다.

강력범들이 수감된 이곳에서 제소자들은 짐승 취급을 당하고 혹여 간수 눈에 잘못 보였다가는 개죽음을 당하기 십상이다. 처음 2년동안에는 악질 패거리들에게 강간당하고 폭행당하며 적응 못하던 '앤디'는 교도소 내 모든 물건을 구해주는 '레드(모건 프리먼)'와 친해지며 교도소 생활에 적응하려 하지만, 악질 재소자에게 걸려 강간까지 당한다. 그러던 어느날 간수장이 세금 면제를 도와주며 간수들의 비공식 회계사로 일하게 되고 마침내는 소장의 검은 돈까지 관리해주게 된다. 덕분에 교도소 내 도서관을 열 수 있게 되었을 무렵, 신참내기 토미로부터 앤디의 무죄를 입증할 기회를 얻지만 노튼 소장은 앤디를 독방에 가두고 토미를 무참하게 죽인다.

 

쇼생크는 주인공이 억울하게 옥살이를 하게 된 교도소의 이름이며 주인공 앤디는 바람난 자신의 와이프와 내연남을 죽인 혐의로 종신형을 받고 감옥살이를 시작한다. 앤디는 사건 당시 와이프와 그의 내연남을 죽이려고 했지만 사실 그렇게 하지 않는다. 술을 마신탓에 앤디에게 당일의 기억은 없었고 죽은 와이프와 그녀의 애인은 다른 잡범에 의해 죽었던 것이었다. 앤디는 자신이 정말로 죽이러 간것까지 사실이기에 자신이 죽인것으로 생각하며 억울한 누명을 쓴채 교도소 살이가 시작된 것이다. 

사실 앤디가 정말로 죽였거나 그렇지 않았거나는 영화속에서 그다지 중요하지 않을수 있겠지만 결말부에서 자유라는 희망을 끝까지 버리지 않았던 앤디는 결국 교도소 탈출에 성공하는데 이는 애초에 처음 교도소를 들어온 순간부터 계획된 탈옥임을 일수 있다. 

재소자들 중 특히 앤디 듀프레인과 가까웠던 인물은 '레드'이다. 그는 쇼생크 교도소에 외부 물품을 밀반입하곤 했는데 조각이 취미인 앤디에게 작은 암석 망치를 구해준다. 암석을 깨는 망치, 손잡이가 닳도록 감옥안의 방에 굴을 팠고, 수백년이 걸릴 시간이라 할지라도 포기 하지 않고 희망을 향해 나아갔다.

앤디 듀프레인과 가까웠던 재소자중 하나는 '브룩스 헤이들런'이었다. 그는 도서관을 관리하던 얌전한 노인으로 종신형을 선고 받고 50년째 쇼생크에서 살았다. 삶의 대부분을 쇼생크에서 살았기에 가석방이 결정되자 장벽 너머의 삶을 크게 두려워했다. 세상으로 나간후에는 교도소에서 기르던 까마귀와 재소자 친구들을 그리워했으며, 오래 버티지 못하고 양복을 차려 입은채 자살했다. 그 소식은 들은 재소자들은 씁쓸한 대화를 나눈다. 

 

"이상하지? 이 감옥 벽들 말이야. 처음에는 싫었는데, 곧 적응하고, 결국 의지하게 되거든"

앤디는 끈질기게 주 정부에 요청해 교도소 도서관 증축의 허가를 받아냈는데 새 도서관의 이름을 <브룩스 기념 도서관>이라 지었다. 

 

영화를 재미있게 만들어준 또 하나의 설정이 바로 금융권에서 일하던 과거의 경력을 살려 간수들과 간수장의 검은돈을 세탁해 주는 그의 능력이 발휘 되면서 부터이다. 앤디는 교도관들은 물론 노튼에게도 금융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다 앤디는 못된 놈들에게 또다시 폭행당해 입원하자 서비스를 받지 못하게 된 해들리와 교도관들은 그 패거리를 반 병신으로 만들어 아예 수감자 전용 병원으로 보내버린다. 이후 앤디를 괴롭힌 간큰 죄소들은 나타나지 않는다

교도소 복역 19년째 토미라는 이름의 젊은 죄수가 들어와 앤디와 침해진다. 앤디는 감옥을 전전하는 젊은 토미에게 새출발을 권하며 직접 알파벳부터 가르쳐 검정고시를 치르게 도와준다. .토미는 앤디가 교도소에 들어오게 된 사연을 듣고 다른 교도소에 있을때 그 사건을 떠벌리고 다니던 진범이 있었다고 말해준다. 토미는 말을 들은 앤디 자신의 무죄를 입증하고 싶어했다. 하지만 교도소장 노튼은 놓아줄 생각이 전혀 없었다. 교도소장은 앤디를 독방에 가두고 쓸데 없는 이야기를 나불댄 토미를 탈옥 혐의를 뒤집어 씌워 죽여버린다. 앤디는 2달이 지나서야 독방에서 풀려난다. 앤디는 무기력하게 생활을 하다가 어느날 레드에게 유언같은 마을 남긴다. 만약 쇼생크에서 석방이 되면 자신이 지목한 장소에 찾아가 달라고.

더 멋짐을 폭발시켜준건 그의 무죄를 입증할 절호의 기회를 얻은 상황이 왔음에도 자신의 돈을 세탁해줄 앤디가 교도소를 나가면 안되었기에 증언해 줄 유일한 사람 토미를 처참하게 죽여버린 간수장에게 엄청난 복수를 했다는 점이다. 처음부터 세탁되어진 돈은 앤디에게 흘러가게끔 설게되어 있었다. 수십년간 억울하게 감옥살이를 했지만 자유만 가져가기엔 아쉬웠을 앤디는 역시나 또 하나의 숨겨진 반전으로 관객들로 하여금 더 통쾌하게 만들어 준다. 

석방후 천둥번개가 쳤고 앤디는 자신의 감방에서 사라졌다. 앤디의 바에 붙여 있던 여배우의 포스터 뒤로 1명이 통과할 만한 구멍이 뚫려 있었던 것이다. 19년의 시간은 레드가 구해준 암석망치로 교도소의 벽에 구멍을 뚫기에 충분한 시간이었다. 노튼 소장과 교도관들, 지역 경찰들이 일대를 수색했지만 듀프레인은 완벽하게 사라졌다. 그는 노튼 소장의 재산관리를 위해 만들어둔 가상인물 '랜덜 스티븐스'로 변신했다. 그리고 노튼 소장의 비자금 37만달러를 인출한 후 지역 신문사에 쇼생크 교도소의 각종 비리를 폭로하는 익명의 편지를 보낸후 잠적한다. 교도관 해들리는 체포되어 끌려 갔고 상황을 감당할수 없었던 노튼 소장은 자살한다. 

40년간 옥살이를 한 레드는 결국 자유와 희망이란 단어 자체를 잊고 살았기에 출소 후 삶에 적응하지 못한채 생을 마감하려 했지만 마치 그렇게 될 것이란걸 미리 예견한듯한 앤디는 반드시 출소 후 자신의 선물을 열어보란 의미심장한 말을 남긴바 있다. 앤디와 레드가 교도소에서 식사중에 희망이라는 소재로 약간의 말다툼이 있었다. 절대로 희망을 버려서는 안된다는 앤디와 그런건 결국 독이 되기에 애초에 그런걸 갖지 말란 레드였다. 둘은 정말 친한 사이였지만 이 의견에서 약간은 트러블이 있었다. 만약 앤디가 없었다면 레드는 출소 후 결국 죽음을 면치 못했을 것이다. 그걸 너무도 잘 알았던 앤디는 레드가 살수 있을 장치를 만들어 놓은 것이다. 

희망과 자유

시간이 흘러 레드는 과거의 브룩스처럼 가석방 심사를 받고 통과한다. 그는 가석방 죄수를 위한 숙소로 보내졌는데 브룩스가 자살했던 그 방이다. 그도 브룩스처럼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쇼생크로 돌아가고 싶은 욕망에 시달리게 된다.

그러다가 앤디의 마지막으로 남겼던 말을 기억해 내고 그가 지정한 장소로 찾아간다. 그곳에는 앤디가 남긴 편지와 제법 많은 돈이 들어 있었다. 편지에 앤디가 남긴 말은 희망은 좋은 것이라며 자신을 찾아와 달라는 부탁이 담겨 있었다. 

숙소로 돌아온 레드는 브룩스처럼 양복을 깔끔하게 차려 입고 앤디 듀프레인을 만나기 위해 멕시코로 떠난다. 

두 사람은 멕시코의 해변에서 만났으면 진하게 포옹한다. 

 

영화 쇼생크탈출은 미국의 대표적인 교도소 영화이기도 하며 인간의 삶에 있어 희망이라는게 얼마나 중요한지 알려주는 명작이다.

 

반응형